HTML은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(Hyper Text Markup Language)라는 의미의 웹 페이지를 위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다. HTML은 제목, 단락,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,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. 그리고 이미지와 객체를 내장하고 대화형 양식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.
html은 웹서버의 기초면서 기본 언어라고 말했었다. 그럼 웹서버는 무엇인가? 웹 서버(Web Server)는 HTTP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요청하는 HTML 문서나 오브젝트(이미지 파일 등)을 전송해주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말한다. 간단하다.
태그는 html에서 가장 기초적이고 제일 기본이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. 태그(tag)는 어떤 정보에 메타데이터로 부여된 키워드 또는 분류이다. 일반적인 분류 체계와는 다른 어느 하나의 정보에는 여러 개의 태그가 붙어 그 정보를 다양한 면에서 연관성을 보여 줄 수 있으며 이렇게 제공된 정보나 자료는 접근이 쉽게 해주어 손쉽게 그 정보를 검색하고 노출시키고 분류하거나 다른 자료와 엮어 네트워크로 만드는 일을 쉽게 해 준다. 태그는 보통 그 자료를 만든 사람이나 자료를 이해하거나 찾은 사람이 붙일 수 있다. 그래서 태그는 정식의 분류의 용어와 체계를 가지지 않고 비교적 자유로운 형태나 주관적인 관점에서 기록될 수 있다. 이러한 특징 때문에 태그는 동적이고 유연한 맥락적 메타데이터 정보로 날짜, 시간, 제목 같은 메타데이터 요소들과는 구분된다. 태그로 쓰인 키워드는 그 본문 안의 정보에는 기록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음악, 그림과 같이 문자로 그 내용이 기록되지 않아 검색이 어려운 인터넷의 정보 객체들도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검색할 수 있게 한다. 보통 태그는 한 낱말로 많이 이뤄져 있지만, 여러 개의 낱말이 하나의 개념을 나타내어 입력되기도 한다. 특히 방대한 정보가 생성, 교환, 공유되는 인터넷에서는 어떤 데이터를 찾기 위해 태그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에 매우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검색성을 갖게 한다.
보통 태그들은 <p> 이런 식으로 이루어져 있다. 종류는 30가지를 훨신 넘습니다. 물론 이걸 다 설명해 줄수는 없겠죠.
강의는 뭣하려고 있나요? 배우기 위해서죠.
코딩빈 HTML5강의에서 제공하고 있으니 많이들 보시기 바랍니다!
링크: 가라! HTML5
라이브러리란 우리말로 도서관이란 뜻으로 말그대로 클래스마다 같은 값을 가질때 코드낭비고 그러는걸 방지하기 위해서 라이브러리가 있는거고 라이브러리는 도서관처럼 정보, 코드를 보관하는 곳이다.